2026년 봄학기 신입생을 모집하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저희 연구실과 김종민 극한물성소재연구센터 책임연구원, 한상수 계산과학연구센터 책임연구원, 문준희 한국기초과힉지원연구원 선임연구원이 공동으로 산소를 과산화수소로 전환하는 '고효율 메조 다공성 촉매'를 개발하여 기존 과산화수소 친환경 생산 방식의 한계를 극복한 내용의 기사가 작성되었습니다.
저희 교수님께서 센터장으로 있으신 분산형 저탄소 수소생산 연구센터 (ERC) 제 3차 성과보고회가 2025년 1월 13일에 KAIST 생명화학공학과 1층 영상강의실에서 진행되었습니다.
2024년 12월 24일에 2025년 한국공학한림원 신입회원 명단 발표가 있었습니다.
저희 교수님께서 정회원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축하드립니다!
저희 교수님께서 2024년 5월 21일, KAIST 리서치데이를 맞아 '연구상'을 수상하셨습니다.
축하드립니다!
2024년 한국화학공학회 봄 총회 및 학술대회에서, 4월 25일-26일 양일간 ERC 심포지움 세션이 오픈되었습니다 (Organizer: 이재우 교수님).
주제는 바이오매스 수소 생산 심포지엄 1 (바이오 폐자원으로부터 바이오가스 생산), 심포지엄 2 (바이오매스 가스화를 통한 수소 생산) 입니다.
Keynote Speaker: Ah-Hyung Alissa Park (UCLA), Fanxing Li (North Carolina State Univ.)
Invited Speaker: 황석환 교수님 (POSTECH), Tomohisa Hasunuma (Kobe Univ.)
Speaker: 상병인 교수님 (한양대학교), 김현욱 교수님 (KAIST), 서명원 교수님 (서울시립대), 남형석 교수님 (경북대학교), 문지홍 박사 (KIER)
저희 교수님께서 센터장으로 있으신 분산형 저탄소 수소생산 연구센터 (ERC) 제 2차 성과보고회가 2024년 1월 8일에 KAIST 생명화학공학과 1층 영상강의실 / W1 다목적홀 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저희 연구실은 KIST 물질구조제어연구센터 김종민 박사, 계산과학연구센터 한상수 박사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고전류밀도에서도 과산화탄소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고효율 탄소 촉매를 개발했으며, 해당 내용을 바탕으로 기사가 작성되었습니다.
저희 교수님께서 미국 화학공학회 (AIChE) 의 석학회원으로 선출되셨습니다.
축하드립니다!
기사 링크: https://chenected.aiche.org/2023/04/meet-some-aiches-new-fellows
저희 교수님께서 센터장으로 있으신 분산형 저탄소 수소생산 연구센터 (ERC) 제 1차 성과보고회가 2023년 1월 9-10일에 롯데리조트 부여에서 진행되었습니다.
분산형 저탄소 수소생산 연구센터 (ERC) 개소식이 2022년 8월 23일 W1-3 에서 진행되었습니다.
EFDL 10주년을 맞아, 2022년 생명화학공학과 동문회를 겸하여 랩 홈커밍 행사가 진행되었습니다!
이동규 박사과정 학생이 ICCDU 2021에서 우수 구두 발표상을 수상하였음을 알립니다.
축하합니다!
2021년 10월 27일부터 29일까지 개최된 국제학술대회에서 저희 랩 박사과정생 2명이 다음과 같이 수상하였음을 알립니다.
엄호현 박사과정생: 우수 구두 발표상, 우수 포스터상
이원형 박사과정생: 우수 구두 발표상
축하합니다!
저희 연구실에서 publish된 paper의 figure이 ACS Catalysis (Vol. 11, No. 19)에 cover 로 선정되었습니다.
저희 교수님께서 이산화탄소 활용에 관한 국제학술대회인 ICCDU 2021의 주관 및 총괄을 맡으셨습니다.
기사 링크: https://www.yna.co.kr/view/AKR20210716084100063?input=1195m
저희 연구실에서 이산화탄소 처리로 산화 티타늄 신소재 판형 맥신 합성에 성공했다는 내용을 다룬 기사가 YTN, 조선비즈, 연합뉴스 등의 언론을 통해 보도되었습니다.
기사 링크: https://www.ytn.co.kr/_ln/0115_202008251126210466
저희 연구실에서 publish된 paper의 figure이 ACS Applied Energy Materials (Vol. 3, No. 6)에 cover 로 선정되었습니다.
저희 연구실에서 publish된 paper의 figure이 Industrial & Engineering Chemistry Research (Vol. 59, Iss. 32)에 cover 로 선정되었습니다.
저희 연구실에서 publish된 paper의 figure이 Industrial & Engineering Chemistry Research (Vol. 59, Iss. 5)에 cover 로 선정되었습니다.
저희 연구실에서 publish된 paper의 figure이 Industrial & Engineering Chemistry Research (Vol. 59, Iss. 5)에 cover 로 선정되었습니다.
저희 연구실에서 publish된 paper의 figure이 Energy & Fuels (Vol. 33, Iss. 1)에 cover 로 선정되었습니다.
저희 교수님께서 Journal of CO2 Utilization의 Editorial Board로 선임되셨습니다.
이 저널은 Elsevier에서 발간하는 이산화탄소 활용과 관련된 Catalysis/Materials /Processes/Policy 의 대표 저널이고, Chemical Engineering Field의 Q1 저널입니다.
저희 연구실에서 나온 논문 (Ahn et al., Energy Storage Mater., 2019) 를 바탕으로 한 기사가 동아사이언스에 기사로 실렸습니다.
뉴스 링크: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29308
(기사 제목: 낮은 압력에서도 수소 저장한다)
저희 교수님께서 2019년 5월 10일, KAIST 교육 혁신의 날에 '이수영 교수학습혁신 우수상' 을 수상하셨습니다.
축하드립니다!
저희 교수님께서 2019년 KAIST 개교 48주년 기념 '교수학습혁신우수상' 을 수상하셨습니다.
아래는 수상 전문입니다.
이재우 교수는 효과적으로 Education 4.0 방식 수업을 진행함으로써 학생들이 이해한 학습내용을 활발히 발표하는 등 수업참여도가 상당히 높았으며, 또한 수업참가생이 평가하는 강의평가결과도 아주 우수하게 나와 교수학습혁신우수상을 수상하게 되었다. 한편, 이재우 교수는 생명화학공학과 학과장을 맡고 있으면서 전공 교과목 강의에도 소홀함이 없이 매진해 오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은 과학기술 역할에 대한 국민 이해 및 관심과 과학기술인의 자긍심을 높이기 위해 '2018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을 선정하였고, 이 중 에너지·환경 분과에 이재우 교수님께서 선정되셨습니다.
(주제: 이산화탄소를 원료로 한 고부가가치 탄소 물질 합성 기술 개발)
한국공학한림원에서 2025년 대한민국의 삶을 변화시킬 미래기술 100가지를 2018년 12월 19일 발표하고 이를 주도적으로 연구할 기술개발 주역을 선정하였습니다.
총 238명의 기술개발 주역 중 카이스트 생명화학공학과에서는 이재우 교수님을 포함한 4분의 교수님이 선정대상자에 포함되었습니다.
저희 교수님께서 한국화공학회에서 시상하는 '2016년 석명우수화공인상' 수상자로 선정되셨습니다.
석명우수화공인상은 석명과학재단, 한국화학공학회 제28대 회장인 故 권석명 부회장이 출연한 재원을 바탕으로, 2004년도부터 우리나라 화학공학 관련 우수한 학술적 업적 및 산업화 기여도가 큰 한국화학공학회 회원 중에서 수상자를 선정하여 시상하고 있습니다.
축하드립니다.
제 1회 원전폐기물관련 재료 및 계면 공학 국제 심포지엄(2016년 8월 29일 진행)이 KAIST 생명화학공학과와 원자력양자공학과 공동 주관으로 성공적으로 개최되었습니다. 영국 Leeds 대학, 캐나다의 Alberta 대학, 그리고 경북대에서 심포지엄에 참석하여, 원전 폐기물 기술과 관련하여 다양한 논의를 진행하였습니다. 이후에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저희 교수님께서 2015년 8월 11일 부로 KAIST 생명화학공학과 신임 학과장님으로 부임하셨습니다.
축하드립니다!
저희 연구실에서 publish된 paper의 figure이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A, 2015, 3 에 backcover 로 선정되었습니다.
저희 연구실에서 publish된 paper의 figure이 Journal of Chemical & Engineering Data (Vol 60, Iss. 2) 의 cover로 선정되었습니다.
이재우 교수님께서 2014년 11월 19일 미국 아탈란타에서 열린 AIChE Annual Conference 에서 KIChE US Chapter Service Recognition Award를 수상하셨습니다.
축하드립니다!
우리 연구실에서의 유학 및 임용 소식입니다.
조경택 석사과정 (2012-2014) - ETH Zurich, Switzerland 로 유학
이원희 Post-doc (2013-2014) - Colorado School of Mines, USA 로 유학
차민준 Post-doc (2012-2013) - 강원대학교 로 임용
연구에 좋은 성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저희 연구실의 바이오디젤 연구가 기사로 출판되었습니다.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41972 (조수현 기자)
Im. H et al., Concurrent extraction and reaction for the production of biodiesel from wet microalgae, Bioresource Technology 152 (2013), 534-537
위 paper이 Bioresource Technology에서 "Most downloaded paper"로 선정되었습니다!